안구건조증, 안구건조증 증상, 치료법, 좋은 음식
안구건조증은 남녀노소 가리지 않고 쉽게 볼수 있다. 나 또한 컴퓨터를 많이 하고 책을 많이 보는 입장이라 안구건조가 심한 편이다. 심할땐 병원에 가서 치료를 받고 괜찮아 진다 싶으면 또 똑같이 컴퓨터와 책을 계속 적으로 본다. 이렇게 생활습관, 또는 영양소를 바꾸지 않으면 안구건조증은 계속 적으로 따라 오는 증상이다.
그럼 안구건조증은 무엇일까?
<안구건조증 원인>
1.노화 : 가장 흔한 원인으로 정상적인 노화 현상에 의해 눈물의 분비량이나 눈물의 상태가 변한다.
2.동반질환 : 류마티스성관절염, 쇼그렌 증후군(입과 눈 등 몸 전체의 점막들의 염증이나 건조가 발생하는 류마티스 질환), 루프스, 공피증, 당뇨병, 비타민 A 결핍증 등의 질병이 있으면 눈물 생산이 줄어든다.
3.만성결막염 : 결막에서 점액 분비선 역할을 담당하는 술잔세포들이 만성적인 염증으로 줄어들면 점액 분비량이 적어져 수분을 점액층에 붙잡아 둘 수 없기 때문에 수성 눈물층이 곧 눈물관을 통해 코로 흘러나가 버리게 된다.
4.갑상선 질환 : 갑상선 항진증으로 눈이 커져 과도하게 눈물이 증발되거나, 갑상선 기능저하로 눈물 생성이 감소될 수 있다.
5.여성호르몬 감소 : 갱년기에 의한 여성호르몬 감소로 눈물 생성이 줄어듭니다. 방사선이나 염증으로 인한 눈물샘 손상, 각막의 예민성 감소, 과도한 눈물의 증발, 눈꺼풀 문제(눈꺼풀 속말림, 눈꺼풀겉말림, 눈꺼풀염) 등으로도 발생할 수 있다.
6.약물복용 : 항생제, 항히스타민제, 이뇨제, 지사제, 스코포라민과 같은 부교감 신경차단제, 고혈압 치료를 위한 베타차단제, 수면제, 피임약, 일부 여드름 치료제, 일부 항우울제, 일부 마취제 등의 눈물 생성을 감소시키는 약물에 의해 눈물이 마를 수 있다.
7.환경 요인 : 주위 환경이 건조하거나, 연기나, 먼지 자극, 햇볕, 바람 등으로 눈이 자극되거나, 독서나 컴퓨터를 하면서 무의식 중에 눈을 깜박이는 횟수가 줄어들면 안구 건조증이 생기기 쉽다.
<안구건조증 증상>
1.증상으로는 자극감
2.모래가 굴러가는 것 같은 이물감
3.눈이 타는 듯한 작열감, 흔히 침침하다고 느끼는 불편감, 가려움, 눈부심, 갑작스런 과다한 눈물 등.
4.증상이 있을 때 눈을 감고 있으면 다소 편하게 느껴지기도 함.
5.이런 증상들은 건조한 환경에서 장시간 집중하여 눈을 사용한다든지, 바람이 많이 부는 곳, 햇빛이 강렬한 곳, 공기가 혼탁한 곳 등에서 심해지고 오후로 갈수록 불편감을 호소하는 경우가 많음.
<안구건조증 치료>
1.가장 보편적인 치료는 인공누액을 이용하여 모자라는 눈물 성분을 공급해 주는 것. 항상 휴대하면서 불편감을 느낄 때마다 자주 점안하는 것이 좋음. 연고의 형태로 나와 있는것도 있고 안약과 연고의 중간 형태인 묽은 젤리 형태 등 여러 종류가 있으므로 자신의 눈에 편한 것을 고르는 것이 좋음.
2.눈꺼풀청소법
눈꺼풀 청소는 눈물의 지방층을 회복시켜 눈물의 증발을 줄여 주고, 안구건조증을 호전시킬 수 있음. 면봉에 깨끗한 식염수나 안과에서 처방 받은 연고를 발라 속눈썹이 나오는 부위를 하루 2~3회 정도 닦아 줌.
3.눈물점폐쇄법
눈물이 배출되는 눈물점을 막으면 효과를 볼 수 있음. 이때 안구건조증 정도에 따라 아래쪽 또는 위, 아래 모두를 막을 수도 있고, 일시적 또는 영구적으로 막을 수도 있으며, 제거가 가능한 기구를 삽입할 수도 있고, 전기로 소작하는 방법도 있음.
<안구건조증 좋은 음식>
1. 결명자 - 이름에도 알수 있듯이 눈이 맑아지게 한다라는 뜻인 결명자를 먹으면 눈이 좋아짐.
2. 녹색채소- 안구 건조증 예방의 효과
3. 당근- 성장기의 아이들에게 눈 시력 도움이 됨.
4. 블루베리 - 안구 건조증 예방의 효과
계속 건조한 날씨로 인해 더 안구건조가 심해지는 환경이니 계속 자신의 눈을 소중히 생각하고 예방하는 것이 최고의 안구건조증치료가 아닐까 생각한다.